강화된 완성도와 직관적 전투 개선, 뚜렷한 방향성 엿보인 베타 테스트
[게임플] 신작 PC 게임, ‘워헤이븐’의 베타 테스트 종료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넥슨이 테스트로 선보인 콘텐츠는 다양했고 과감한 변화가 함께했다.
지난해 워헤이븐은 ‘프로젝트 HP’란 이름으로 알파 테스트를 진행했다. 게임이 추구하는 방향성은 뚜렷했다. 고퀄리티 그래픽을 토대로, 묵직한 손맛을 느낄 수 있는 백병전 전장의 구현이다. 앞서 출시됐던 동종 장르 게임과 비슷한 점도 있었지만 부활과 ‘영웅의 화신’ 등 판타지 요소를 적절히 더한 차별화 포인트로 긍정적인 첫 인상을 남긴 바 있다.
이후 1년간의 준비를 마치고 다시 돌아온 워헤이븐은 확연히 달라졌다. 우선 전투원들의 개성이 새로운 기술로 더욱 강화됐다. 2종에 불과했던 전장도 4종으로 확대됐고 인간 대포, 포차, 글라이더 등 다양한 장비들이 추가됐다.
가장 큰 변화는 전투였다. 결론부터 말하면 공격과 방어 과정이 매우 간단해졌다. 알파 테스트 당시에 적용됐던 속임수, 순간 방어처럼 변수를 만들어내는 고급 기술과 스태미나 시스템이 게임에서 제외됐다. 한 마디로 공방 과정은 간결해지고 행동의 제약 또한 사라진 셈이다.
전투를 둘러싼 토론은 테스트 종료를 앞둔 지금 시점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백병전 PvP 장르를 처음 경험하는 유저 입장에선 낮아진 진입장벽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넓은 전장을 자유롭게 뛰어다니며 적극적으로 전투에 개입할 수 있다. 공방 과정도 신경써야할 부분이 작으니, 한층 더 직관적이다.
하지만 간소화된 전투로 인해, 공방의 깊이가 얕아졌다는 반응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1vs1 구도에서 변수가 될 부분이 벽 같은 장애물과 화신력, 3자 개입 정도이니 장르 특유의 심리전이 약해졌다는 것.
이러한 배경에서 이번 베타 테스트는 전투의 난이도를 어떻게 설정할지, 의미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자리였다고 생각된다. 실제로 알파 테스트 당시의 전투는 앞서 출시됐던 마운트앤블레이드, 쉬벌리, 모드하우처럼 치밀한 심리전이 가능했다. 다만 해당 게임들이 국내에서 마니아 이외의 유저들에게 선택받지 못한 점을 감안하면 보다 대중적인 방식을 연구하고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워헤이븐은 이번 테스트를 토대로 다시 방향성을 점검하고 미래에 대한 고민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베타 테스트의 변화가 모든 유저들을 만족시키진 못했지만 분명한 성과는 거뒀다. 완성도 향상과 더불어 대중화를 둘러싼 의미 있는 반응을 얻었다.
테스트 도중 2차례에 걸쳤던 밸런스 조정 업데이트의 내용을 감안하면, 정식 출시 시점의 게임은 지금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스파이크와 스모크, 아치, 워해머 등의 개선을 통해 게임은 짧은 기간 동안 급속도로 다변화됐고 새로운 관전 포인트들이 등장했다.
이처럼 다양한 반응을 낳았듯, 정식 출시까지 계속될 워헤이븐의 선택과 집중에 시선이 모인다. 아직 구체적인 출시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고 이은석 디렉터의 라이브 방송 계획이 취소되면서 변화에 대한 방향성을 직접 듣지 못했지만 결과적으로 많은 화젯거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워헤이븐', 테스트 중 발 빠른 밸런스 개편 돋보여
- 워헤이븐, 첫 밸런스 패치 이후 전장의 모습은?
- [체험기] 초보도 하기 쉬워졌다? ‘워헤이븐’ 베타 테스트
- 단순해서 짜릿한, 영화 ‘블랙아담’과 게임 ‘워헤이븐’
- 베타 테스트 3주의 기록... ‘워헤이븐’ 인포그래픽 공개
- 물 만난 워헤이븐, 한계를 넘을 ‘DLSS 3’ 적용 소식
- '워헤이븐' 이은석 디렉터 “보다 쉽고 재미있는 게임으로 개발 중”
- [시연기] 넥슨 '워헤이븐', 새 캐릭터와 전장에 놀란 이유
- [시연기] "묵직한 손맛, 전략적 전투" 신입 기자가 처음 즐겨본 '워헤이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