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시연 현장에서 만난 문준기 사업본부장, 장현일 PD

"선정적인 장면, 피 튀는 연출... 지스타라 못 보여드렸을 뿐입니다."

넷마블이 14일 부산 벡스코 지스타2024 현장에서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공동 인터뷰를 진행했다. 넷마블 문준기 사업본부장과 넷마블네오 장현일 PD가 참석해 미디어 질문에 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는 HBO의 공식 라이선스를 획득해 개발한 대작 오픈월드 액션 RPG다. 철저한 원작 고증을 거치되 오리지널 스토리로 구현했으며, 웨스테로스 대륙 전역을 누비는 탐험과 수동 액션으로 IP 최고의 게임성을 내세운다.

문준기 본부장은 넷마블에서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를 포함해 여러 액션 RPG를 담당하는 인물이다. 장현일 PD는 게임 개발을 장기간 진두지휘했다. 장 PD는 "북미 기준 17세 게임등급으로 원작 수위 연출에 충실했으며, 넷마블의 IP 협업 노하우를 활용해 잘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현일 PD(왼쪽), 문준기 본부장(오른쪽)
장현일 PD(왼쪽), 문준기 본부장(오른쪽)

Q. 수동조작이 인상 깊었는데 모바일에서도 동일 기조가 유지될까? 서구권에 선출시한다 했는데 출시 전략도 궁금하다.

장현일:  장르 자체가 액션 RPG인 만큼 모바일도 지금처럼 풀 수동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카메라 전환, 타겟팅 등 모바일에서 조작이 힘든 부분들이 있어 수동이 가능하게끔 공을 들이고 있다. 

문준기: 이번 지스타로 외부에 게임을 처음 선보였는데, 연말에 글로벌 각 지역에서 유저 테스트를 철저히 진행하고 어느 시점에 어느 플랫폼으로 출시할지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IP가 서구권에서 유명한 것도 있지만, 더빙이나 스토리 등 대부분을 외국인 분들이 직접 작업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은 콘텐츠 소비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보니 서구권 선 출시한 다음 보완해서 텀을 최소화해 선보일 계획이다.


Q. 나 혼자만 레벨업이라는 좋은 IP로 성공한 후 이번에도 초호화 IP를 가져왔다. 나 혼자만 레벨업 때의 노하우를 어떻게 적용할 생각인가.

문준기: 흥행의 핵심 요소는 '이 IP를 좋아하는 유저들이 어떤 게임성을 좋아할지'를 고민하는 것이다. 왕좌의 게임 역시 드라마를 봤던 유저들이 어떤 게임을 가장 기대할지를 가장 많이 고민하며 개발했다. 

왕좌의 게임 IP로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이 나왔지만, 팬덤에서 가장 기대하는 건 세계관 속에서 원작 등장인물들과 같이 오픈월드를 탐험하거나 스토리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조금 더 방대하고 오래 걸리더라도 오픈월드 액션 RPG로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Q. 오픈월드 완성도는 어느 정도인가?

장현일: 70% 이상 개발됐고 필드 제작이나 콘텐츠는 어느 정도 됐다고 본다. 그런데 아직 되어야 할 게 안되는 등 덜그덕거리는 것들이 조금 있다. 그런 부분들은 지속적으로 폴리싱 작업 중이다.


Q. 원작 IP의 경우 잔인할 정도로 현실적인 부분이 많다. IP 홀더 측 검수가 까다로운데, 공을 들인 부분은?

장현일: 원작 IP 자체가 성인등급이고 우리도 북미 기준 17세 게임등급으로 제작하고 있다. 이번 지스타 시연 빌드의 경우에는 전투 대상이 인간이 아닌 '시귀'다 보니 인간을 쓰러뜨리고 처형하는 장면은 노출이 안 됐다. 

그외 시나리오에서도 왕좌의 게임은 잔인하고 성적인 부분이 있다. 그런 부분을 메인 시나리오 혹은 퀘스트에서 담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검수는 IP가 워낙 크다 보니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쉬운 과정은 아니었으나 넷마블에서 그동안 여러 IP 홀더와 협업한 경험이 있고 노하우가 있어서 잘 진행할 수 있었다. 


Q. 그간 왕좌의 게임 IP 게임들 중 오리지널 캐릭터가 나오는 몇몇의 경우 스토리에 있어 원작과 다르게 가기 힘들어 보였다. 원작의 경우 결말이 아쉽다는 평도 있었는데.

장현일: 원작 내용을 저희가 바꿀 수 없고 바꿀 의향도 없다. 다만 주인공이 만들어가는 이야기는 그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것들이 왕좌의 게임스럽지 않거나 기존 이야기를 침범하진 않을 것이다.

Q. 멀티 콘텐츠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궁금하다. 

장현일: 크게 보면 4개 파트다. 하나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다. 필드를 돌아다니다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거기는 멀티플레이 공간이기에 다른 유저를 만날 수 있다. 두 번째는 4인 파티 던전이다. '기억의 제단'이라고 세계관 내 과거 전설적인 생명체가 등장한다. 

세 번째는 드래곤이다. 에소스에서 잠시 행방불명됐던 드래곤이 먹이를 찾으러 등장할 예정이다. 죽일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쫓아내는 정도의 12인 멀티플레이 필드 보스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장벽 너머 레이드 원정이 있다. 밤의 경비대들과 같이 로그라이크 스타일로 코옵 플레이를 진행한다.


Q. 최근 HBO가 왕좌의 게임 프리퀄 드라마를 내기도 했다. 이런 프리퀄 드라마도 게임에 넣을 의향이 있나?

문준기: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는 시즌4 기반 스토리와 해당 시점을 배경으로 하나 세계관은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프리퀄 드라마 '하우스 오브 드래곤'은 미국에서 현재 좋은 성과로 시즌2까지 방송됐다. 주요 등장인물들 외에도 드라마에서 조명되지 못하거나 대사만 나왔던 인물 등 원작에서 보지 못했던 요소들을 보는 재미도 있을 것이다. 

Q. 용어나 고유명사 번역이 참신한 게 보이더라. 번역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페그오나 다른 해외 게임을 서비스할 때 넷마블 번역이 공식 번역으로 정착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장현일: 내부에도 외국인 직원들이 있다. 기본적으로 단어는 외국인 기준으로 1차 정리하고 LQA를 추가적으로 한다. 카밤, 해외 법인에서도 의견을 받고 있다. 최종 정리한 내용을 기반으로 확정해 홀더 검수를 보낸다.


Q. 마지막으로 게임을 기다리고 계신 유저분들께 한마디 부탁드린다.

문준기: 사실 지스타에서 노출하기 힘든 선정적인 부분이나 피가 튀는 부분들이 있고, 지금 유저분들은 프롤로그 정도만 체험하고 계신다. 가급적 빠른 시일 내 유저분들께 이 게임의 진짜 재미를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다. 

특히 이번 지스타를 통해 왕좌의 게임 IP를 좋아하시는 분들로부터 "왕좌 IP로도 이런 게임이 나오는구나"라는 기대를 받았으면 한다. 저 또한 너무 재밌게 본 드라마를 직접 담당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 그 팬심을 그대로 가지고 좋은 성과를 보이겠다.

장현일: 많은 인원이 적지 않은 기간 동안 개발을 해왔고 서서히 공개하는 시점이다. 메인 시나리오와 전투 관련해서 개발실 내에서도 충분히 수동의 재미를 느낄 수 있게 작업 중이다. 앞으로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게임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