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협업, 포켓몬 타운, 사파리 존 인천, 지스타 파트너십까지
끊임없는 한국과의 소통으로 문화 공간 만들어온 나이언틱

24일, AR 게임의 시작을 알린 '포켓몬 고'가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 지 8주년을 맞이했다.

나이언틱은 게임을 넘어 사람들을 연결시키며 남녀노소가 즐기는 '스테디셀러'를 표방했고, 지난해에는 한국 트레이너들과의 더 많은 만남을 추구했다. 삼성전자와의 협업 이벤트를 비롯해 K-POP 그룹 에스파와의 컬래버레이션, '포켓몬 고 사파리 존: 인천' 등 다양한 기회로 많은 한국 유저를 만났다. 

지난해 3월, 포켓몬 고는 삼성전자와 협력한 이벤트를 진행해 갤럭시 S24 시리즈의 독보적인 성능을 모두 즐길 수 있는 이색 체험 공간으로 화제를 모았다. 포켓몬을 테마로 꾸며진 공간뿐 아니라 S24 시리즈로 직접 포켓몬 고를 플레이하며 안정성과 몰입도를 더했다.

또 삼성 강남 포켓몬 고 체육관에서는 별5개 레이드배틀이 주기적으로 진행됐으며, 갤럭시 스튜디오 팬큐레이터들과 함께 팀을 이루거나 트레이너들간 협력해 강력한 포켓몬을 잡을 수 있어 성지로 이름을 알렸다.

서울 잠실 포켓몬 테마 행사 '포켓몬 타운 2024'에 맞춰 한국에서만 즐길 수 있는 인게임 이벤트와 현장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석촌호수에 등장한 라프라스에 맞춰 게임 내에서도 특별한 기술을 배운 라프라스가 평소보다 많이 등장했으며, '스카프를 한 라프라스'도 등장하는 등 팬들의 모험심을 자극하는 이벤트들이 준비됐다.

아울러 석촌호수 인근을 탐험하고 즐길 수 있는 미션 이벤트로 트레이너들이 새롭게 지역을 방문하고 즐길 수 있도록 동선을 마련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클리어 파일, 팀 투명 스티커, 프로모션 코드, 풍선 등 트레이너들에게 기념이 될 특별 굿즈들을 선물하기도 했다.

9월에는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에서 '포켓몬 고 사파리 존: 인천'이 개최됐다. 글로벌 트레이너들의 인천 방문도 유도하면서 다양한 지역의 트레이너들과 교류를 이어갔다.

2022년 고양시에 이어 한국에서 두 번째 개최되는 사파리 존 이벤트였다. 낭만적인 송도 센트럴파크가 포켓몬 고 테마로 탈바꿈하고, 누구나 포켓몬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포켓몬 조형물들이 마련되어 인천시민들에게 새로운 즐길거리를 만들었다.

특히 인천관광공사의 추천 관광지를 기반으로 선정된 공식 루트 10곳을 따라 걸으며 인천의 아름다움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어,  참여자 모두에게 아름다운 추억을 선사했다는 평을 얻었다. 

11월 초에는 강남 고속터미널 파미에 스테이션에 포켓몬 고 팝업 부스를 설치했다. 다이맥스와 거다이맥스를 테마로 유저들을 만나는 특별 체험 공간이었다.

다이맥스는 특정 포켓몬이 거대해지는 현상으로,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는 배틀이 추가됐다. 보다 많은 유저들에게 다이맥스와 거다이맥스의 재미를 알리기 위해 전국의 인파가 모이는 고속터미널에 이 같은 기회를 마련했다.

행사 현장에는 게임과 동일하게 체육관이 마련되어 다른 유저들과 함께 현장 레이드배틀을 즐기거나, 파워스폿에서 맥스파티클을 모으고 맥스배틀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콘텐츠와 현장 이벤트가 진행되어 관람객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팝업 부스와 함께 11월 한 달 동안 '동네방네 GO GO GO!'가 진행됐다. 서울 시내의 방방곡곡에 있는 버스 정류장을 탐험의 무대로 탈바꿈하며 유저들의 일상과 더 가까워지는 시도를 이어갔다.

서울 내 151개의 버스 정류장과 8개의 스마트 버스 정류장이 포켓스톱과 체육관으로 탈바꿈했고, 포토디스크를 돌리면 아름다운 서울의 모습을 담은 인게임 엽서를 제공했다.

11월 지스타 2024에도 부스를 마련해 4일 동안 수많은 게이머들과 추억을 공유했다. 지스타 조직위원회와 최초로 진행하는 공식 파트너십으로서, 2024년에 20주년을 맞이하는 지스타를 축하하고 관람객들에게 긍정적인 게임 경험을 제공했다.

변화한 포켓몬 고를 체험할 기회와 함께, 게임 속 체육관을 모티브로 한 공간을 구현해 실제 체육관을 운영하기도 했다. 트레이너들이 이벤트와 함께 체육관 배틀, 레이드배틀을 수월하게 즐기는 기회였다.

포켓몬 고는 2017년 정식 출시 이후 한국 트레이너들을 위한 다양한 접점을 만들어 호응을 얻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8주년까지 착한 게임, 스트레스 없는 게임을 표방하며 달려온 포켓몬 고의 끝이 어디일지가 궁금해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게임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