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변경 미고지로 과징금 116억 원 부과
강원기 총괄 디렉터 "확률 변경은 게임 밸런스 유지 위한 조치"
확률 변경 사실 숨긴 것 인정... "고객간담회 당시 마음으로 돌아가겠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로부터 전자상거래법 위반 혐의로 과징금을 부과받은 ‘메이플스토리’가 긴급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오늘(3일) 공정위는 넥슨코리아(이하 넥슨)이 서비스하는 게임 메이플스토리 및 ‘버블파이터’ 내에서 판매하는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을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고도 이를 누락하여 알리지 않고, 거짓으로 알린 행위에 대하여 시정명령과 과징금 116억 원(잠정)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강원기 메이플스토리 총괄 디렉터는 “3년간 조사가 이어지면서 내부에서도 조사 중 내용 일부를 인지하고 있었으나,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시점에서 이를 밝힐 수 없었다”며 뒤늦게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사과했다.

김창섭 디렉터는 공정위의 조사가 시작된 경위에 대해 설명했다.

2021년 3월 5일, 메이플스토리는 확률형 아이템인 ‘큐브’의 확률을 유저들에게 공개했고, 이 과정에서 ‘보보보’, 즉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증가’ 옵션이 3회 중복으로 등장할 확률이 존재하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대해 유저들이 문제를 제기하자 메이플스토리는 4월 11일 고객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후 공정위는 넥슨 전체 게임에 대한 확률형 아이템 관련 전수조사를 착수했고, 2차례의 걸친 현장 조사와 내부 자료에 대한 검수가 이뤄졌다.

이를 통해 공정위는 메이플스토리가 2010년 잠재옵션을 가중치 확률로 나오도록 변경한 뒤 당시 고지하지 않은 점, 2011년 일부 잠재옵션의 중복 출현을 제한한 뒤 당시 고지하지 않은 점, 2013년과 2016년 블랙큐브의 레전드리 등급 상승 확률을 조정한 뒤 당시 고지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강 디렉터는 이러한 공정위의 지적에 대해 해명했다. 당초 2010년 5월 14일 큐브 아이템의 첫 출시 당시에는 모든 옵션의 등장 확률이 동일하게 설정됐으나, 약 3개월간의 운영 과정에서 이러한 로직이 게임 내 밸런스의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해 효용가치가 높은 옵션의 등장 확률을 낮췄지만 이를 유저들에게 고지하지 않았다. 강 디렉터는 이에 대해 “도저히 일관할 수 없는 잘못된 일”이라 밝히며 사과했다.

그는 2011년 8월 4일 신규 최상위 등급인 레전드리 옵션을 도입하면서 특정 옵션이 중복으로 등장하지 않도록 제한한 것은 “게임 밸런스 유지를 위해 진행한 조치”였다고 해명했다. 또한 ‘블랙 큐브’ 사용 시 유니크 등급에서 레전드리 등급 상승 확률을 두 차례에 걸쳐 조정한 것에 대해 1차는 “2013년 큐브 아이템 재편 과정에서 인게임 밸런스 조정을 위해”, 2차는 “2016년 레전드리 장비의 가치 보존을 위해” 등급 상승 확률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2021년 4월 고객간담회 당시 질의 내용
2021년 4월 고객간담회 당시 질의 내용

끝으로 강 디렉터는 유저들의 제기한 의문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큐브 확률을 일부 유저들에게 불리하게 적용했다는 의혹과 캐시 아이템 사용 정보를 계속 보관한다는 의혹은 모두 사실이 아니며, ‘원더베리’나 ‘스타포스’ 등 다른 확률형 시스템 역시 현재 표기된 확률과 동일한 확률이 적용된다는 것이 그의 해명이다. 다만 확률을 변경한 사실을 숨기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김 디렉터는 “지금까지 유저들이 보내준 신뢰와 사랑을 다시 한 번 흔들었다는 생각에 말로는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죄송한 마음이 들었다”며, “흔들린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원점에서부터 다시 생각하겠다. 게임성, 성장, 과금 구조 등 모든 항목에 대해 2021년 고객 간담회 당시의 마음으로 돌아가 다시 살피고 고쳐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게임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