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O3 등 구글 최신 기술 탑재한 '플로우' 오픈
잘 나온 영상은 현실과 거의 구별 불가... '특이점' 임박했나
영상 속 남자가 캠을 켠 채 '포트나이트'를 플레이하고 있다. 적을 찾아 달려가는 도중 앞선 팀원이 마지막 처치에 성공하고, 최종 승리를 따내자 팀원과 함께 환호성을 지른다. 두 손을 번쩍 들며 "우리가 빅토리 로얄을 먹었어!"라고 외치기도 한다.
흔하디 흔한 스트리머 게임 화면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현실이 아니다. 구글의 최신 생성형 AI 영상 툴 비오3(VEO3)를 탑재한 플로우(Flow) 사이트가 공개되면서 '만들어진' 영상 중 하나다.
플로우는 구글 최첨단 모델인 VEO3, 이마젠, 제미나이에 최적화된 차세대 AI 영상 제작 도구다. 지난 20일 구글 컨퍼런스 I/O 2025에서 발표와 함께 서비스를 시작했다. 3종의 최신 버전 기술이 합쳐지면서 에셋 모델, 카메라 앵글, 장면 처리 등 영상의 모든 요소가 현실과 무한히 가깝게 진화한 모습이다.
특히 그 어떤 주제의 영상이라도 프롬프트 단 한 줄만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원하는 스타일을 자유롭게 말하면 고전 영화, 쿠킹 방송, 스포츠 현장, 애니메이션, 일상 브이로그, 심지어 ASMR마저도 인물과 배경은 물론 사운드까지 알맞게 배치되어 최종 영사을 생성한다.
화면을 자세히 보면 숫자가 실제 게임에서 어색한 부분이 있어 파악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반 지식이 없고 AI임을 알려주지 않는다면 잘 나온 결과물을 현실이 아닐 거라 추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이런 것들을 챗GPT처럼 극히 빠른 시간에 계속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생성을 통해 실제처럼 속이고 악용하는 행위에 대한 기본 방지책은 있다. 발표에 따르면, 영상 내부에 VEO 활용 제작이라는 것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존재한다. 이를 통해 구글이 언제든지 영상의 진위 여부와 AI 활용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의미다.
VEO3도 완벽한 툴은 아니다. 현재 일반 사용자가 생성 가능한 영상 길이는 최대 8초 정도로 짧은 편이다. 영상을 연속으로 만들어 덧붙이는 것도 가능하나, 별개의 영상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기능은 비교적 불안정하다. 또한 원하지 않는 자막 형식의 문자가 무작위로 화면에 박히는 경우가 있어 성공률에 지장을 준다.
그러나 성공적으로 생성한 영상은 육안으로 구별이 쉽지 않으며, 개인적으로 전달하는 녹화 파일에 구글이 개입할 방법은 없기 때문에 물밑 사기에 악용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 점차 고도화되는 AI 창작물 속에서 거짓 정보에 유의해야 할 필요성이 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