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 결탁 의혹 제기 전부터 배후에 존재... 관련 자료 조달해
주동자 차 모씨 "여명숙 전 위원장, 이번 논란과 관련 없어" 주장
[게임플] 유튜브 채널 ‘김성회의 G식백과’를 운영 중인 방송인 김성회가 자신을 둘러싼 비리 결탁 누명에 여명숙 전 게임물관리위원장이 직접 연루되었음을 폭로했다.
앞서 2019년 말, 게임 관련 유튜브 ‘모냥채널’을 운영하는 차 모씨 등 유튜버 3인은 지속적으로 김성회의 유튜브 채널이 정부와 게임사를 배후에 두고 있고, 김성회의 모든 활동은 관련 업계의 조직적인 지원을 통해 이뤄졌으며, 이는 김성회가 정계 진출을 목적으로 진행한 것이라 주장했다. 이와 함께 과거 게임 업계의 가혹한 노동 환경으로 인한 극단적 선택에 김성회가 연관되었다는 주장을 덧붙였다.
이에 김성회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게임 관련 유튜버 3명이 제기한 비리 결탁 의혹에 대해 반박했다. 자신은 어떤 정부와 기업과도 연루되지 않았으며, 정계 진출에 뜻이 없고, 무엇보다 게임 업계 종사자들의 죽음과 무관하다는 주장을 사실적 근거와 증언을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피력했다. 김성회는 유튜버 3인 중 2인을 민·형사상으로 고소했고, 유튜버 2인은 벌금형 및 민사상 배상을 판결받으며 사건은 일단락되는 듯 보였다.
이후 2022년, 김성회는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상헌 의원과 이도경 보좌관의 제보를 받아 게임물관리위원회(이하 게임위)의 비위 의혹을 제기했다. 총예산 50억여 원을 투입한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음에도 해당 사업을 맡은 업체에 게임위가 어떤 배상도 요구하지 않았다는 내용의 의혹이었다.
그러자 당시 게임위 위원장을 맡았던 여명숙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해당 의혹에 대해 반박했다. 해당 사업은 본래 300억 가까운 예산이 필요했던 사업이었고 제공된 예산이 부족해 사업이 미수에 그쳤다는 것이 주된 입장이었으며, 이어 여명숙 전 위원장은 김성회를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적 공세를 위한 도구로 활용된 듯 묘사했다.
이와 같은 여명숙 전 위원장의 반박에 대응하지 않았던 김성회는 지난 6월 게임의 비위 의혹이 감사원에 의해 사실로 드러난 직후 이에 대한 재반박 영상을 공개했다. 여기서 그는 앞서 자신에게 거짓 의혹을 제기했던 차 모씨와 여명숙 전 위원장이 모종의 관계가 있음을 암시했다.
이에 대해 여명숙 전 위원장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또한 구글 계정을 해킹당했음을 주장하며 커뮤니티 내 댓글 기능 지원까지 중단한 상태다.
그리고 지난 18일, 김성회는 차 모씨 일당의 비리 결탁 누명에 여명숙 전 위원장이 직접 관여했음을 폭로했다. 차 모씨 일당은 김성회 관련 의혹을 제기하기에 앞서 치밀한 절차와 전략을 세우고 있었으며, 이 배후에 여명숙 전 위원장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김성회가 논란에 대한 반박 영상을 올린 이후에도 여명숙 전 위원장은 당시 자신의 총선 캠프에 차 모씨를 영입하고, 자신의 유튜브 운영을 맡기는 등 지속적인 관계를 이어갔음이 녹취를 비롯한 증거를 통해 밝혀졌다.
해당 영상이 공개되자 차 모씨는 자신의 채널에 김성회와 여명숙에 관한 장문의 사과문을 게재했다. 여기서 차 모씨는 자신의 의혹 제기와 여명숙 전 위원장은 어떠한 관련도 없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의혹 제기의 시작은 본인이 아닌 다른 두 명의 유튜버였음을 주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다소 단순하고 명확했던 차 모씨 일당의 동기와 달리, 여명숙 전 위원장이 김성회에게 비리 의혹을 제기한 사유에 대해선 밝혀진 바가 없다. 여명숙 전 위원장은 현재까지 관련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