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ORPG, IP, 중국, 중견게임사의 도약 등이 주요 키워드

[게임플] 어느덧 한해가 마무리되고 오는 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시기가 됐다. 모바일게임 산업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올 한해 숨가쁘게 달려온 각 게임사들은 숨 돌릴 틈도 없이 내년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내년 한국 모바일게임 산업은 올해와 비슷하면서도 사뭇 다른 구도가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MMORPG 장르가 강세를 보임과 동시에 기존 IP를 활용한 게임들의 활약이 크게 기대되는 상황. 

하지만 꽁꽁 얼어붙었던 중국 시장에 해빙기가 찾아올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으며,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주도권을 두고 근 몇년을 통틀어 가장 치열한 '빅매치'가 펼쳐질 기미도 보이고 있다.

수집형 RPG의 뒤를 이어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의 주류 장르가 된 MMORPG는 내년에도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득세할 것으로 예상된다.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 등 대형 게임사들이 공개한 내년 라인업을 살펴보면 MMORPG에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엔씨소프트는 리니지2M을 비롯한 아이온, 블레이드&소울 IP를 활용한 모바일 MMORPG 라인업을 구축했고, 넥슨은 트라하, 스피릿 위시 등 특색 있는 MMORPG를 2019년 내에 출시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넷마블 역시 세븐나이츠2를 내세워 MMORPG 대결 구도에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

MMORPG 라인업 경쟁보다 치열한 대결이 예상되는 것은 바로 IP 경쟁이다.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IP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것은 이미 오래 전 일이지만, 내년 펼쳐질 IP 경쟁이 눈길을 끄는 것은 한국 게임산업의 발전을 이끈 대표적 IP를 활용한 게임이 대거 출시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엔씨소프트는 자사의 대표 IP 3종의 정식 후속작을 모두 모바일게임으로 출시한다. 앞서 이야기 한 리니지2M, 블레이드앤소울2, 아이온2 등이 그 주인공이다. 넷마블의 세븐나이츠2는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에 RPG 열풍을 일으킨 세븐나이츠의 정식 후속작이라는 점에서도 주목할만하다.

넥슨과 위메이드는 클래식 IP를 시장에 재소환 한다. 최초의 그래픽 MMORPG로 꼽히는 바람의 나라를 모바일 환경에 맞게 재해석한 바람의나라: 연, 전투가 아닌 생활형 콘텐츠로도 MMORPG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한 마비노기 IP를 활용한 마비노기 모바일은 넥슨이 준비한 내년 주요 라인업이다.

미르의 전설로 중국 시장 공략의 선구자 역할을 한 위메이드는 미르의 전설4를 비롯해 미르의 전설2를 모바일로 재해석한 미르의 전설M, 전략 장르로 재해석한 또 하나의 신작을 모두 준비 중이다.

올 한해 빗장을 걸어잠궜던 중국 게임시장이 문을 다시금 열 기미가 보인다는 것도 내년 모바일게임 산업에 있어 주목할만한 요소다. 내자판호 심사만 재개된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뿐이지만, 이것만으로도 숨통이 트일 게임사가 적지 않다. 

특히 중국에서 이름값이 높은 IP를 지닌 기존 게임사들은 중국 내 개발사와 협력을 통해 수익 극대화를 노리고 IP 인지도를 유지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형 게임사들 외에 시장의 허리를 지탱하는 중견 게임사의 활약도 내년에 기대되고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프렌즈 레이싱을 위시한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를 내세운 다양한 게임으로 캐주얼 시장부터 미들코어 시장까지 모두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올해 출시된 프렌즈 레이싱으로 '귀여운 캐릭터로도 미들코어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올 한해 신작 출시보다는 2019년 라인업을 가다듬는데 중점을 뒀던 라인게임즈 역시 다양한 게임을 선보일 채비를 마쳤다. 엑소스 히어로즈, 슈퍼스트링, 다크 서머너즈, 레이브닉스: 더 카드 마스터, 어드벤처 인 위즈빌, 프로젝트 PK 등을 준비 중인 라인게임즈는 특정 장르에 집중하기보다는 다양성을 갖춰 너른 유저층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게임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