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 생태계를 지켜야 한다 VS 막아서 될 일 아냐 '의견 팽팽'

한국게임학회 위정현 교수

[게임플] 한국게임전문미디어협회는 오늘(22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더 화이트베일에서 ‘늘어나는 중국게임 수입, 어떻게 봐야하나’를 주제로 신년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한국게임학회 위정현 학회장,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한콘진) 이태희 유통지원팀장, 이엔피게임즈 이승재 대표, 매경게임진 이창희 국장 등 4인이 발제자 및 토론자로 나섰다. 이들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중국게임 수입 현황과 전망 등에 대해 발표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가장 먼저 ‘중국게임 수입의 현황과 전망’이란 발제로 나선 한콘진 이태희 팀장은 현재 중국 정부 차원의 규제로 인해, 한국 게임 시장이 주목 받을 수 밖에 없는 시장이 됐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중국 게임의 한국 유입이 문제가 되는 것은 사실이나, 국내 게임이 해외로 수출되는 비중도 늘고 있다”라며, “따라서 일방적인 수입을 막는다면 전체적인 무역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포스트 차이나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콘진 이태희 팀장

이엔피게임즈의 이승재 대표는 ‘게임 산업계가 생각하는 중국 게임 수입’이라는 주제로 두 번째 무대에 올랐다. 이 대표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글로벌에서 더 잘될 수 있는 게임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점이다.

글로벌 경쟁 시대에서 중국 게임의 수입을 막는다고 도움이 될 것이냐는 말이다. 이 대표는 “정부 차원에서 밀착 지원을 해준다고 하면 한국 게임사들이 더 큰 힘을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개발사와 퍼블리셔 스스로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위정현 교수는 ‘늘어나는 중극 게임 수입의 문제점 및 대응 방향’에 대해 발언했다. “10년 전에는 ‘늘어나는 한국 게임 수입 어떻게 봐야 하나?’라는 주제로 중국이 고민했다”라며, “하지만 불과 10년 만에 국내 게임 산업이 이러한 걱정을 하게 됐다. 이는 한-일 간의 반도체 산업과 같은 형태다”라고 운을 뗐다.

한국게임학회 위정현 교수

실제로 한국 반도체 산업에 조언하고 첨언했던 일본 반도체 산업은 18년 만에 무너졌다. 반대로 국내 반도체 산업은 삼성과 SK를 필두로 폭발적인 발전을 이뤘다. 국내 게임사도 중국과의 경쟁에서 이러한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위 교수는 “불과 10년 전 네오위즈를 만나게 해달라고 애원했던 텐센트가, 이제는 게임 시장을 좌지우지 하고 있다”라며, “한국과 중국의 게임 산업 격차는 줄어들었고, 중국은 한국을 발판 삼아 일본, 북미, 유럽 시장으로 진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위 교수는 정부 차원이 아닌 우선적으로 민간 차원의 규제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정한 권한을 가지고 게임물관리위원회, 자율규제위원회와의 협업으로 보호 장벽을 만들어 중소 개발사들이 숨을 쉴만한 시간을 벌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매경게임진 이창희 국장

마지막 발제자로 오른 매경게임진 이창희 국장도 동의 하는 입장이었다. 심의제도를 통한 묘책, 자율 규제를 좀더 강화하는 대책, 해외 게임사가 국내 사업자 등록증이 있어야 게임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국내 스토어인 원스토어의 혜택 강화 등을 토대로 국내 게임 산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을 펼쳤다.

이후 이어진 4인의 토론 자리에서는 상술한 민간의 협업, 즉 비관세 장벽의 현실성이 있을 것이냐에 대해 의견을 나눴으며, 이후에는 과연 중국 게임사에게 우리가 배워야 할 부분이 있는가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결과적으로 비관세 장벽의 경우 언론, 자치단체, 협회 등에서 목소리를 내서 정부가 외교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국장은 “자율 규제, 게임 등급 심의와의 연계가 된다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해결이 될 수 있다”라며, “이 부분이 해결된다면 직접 서비스와 퍼블리싱 간의 불평등도 어느 정도는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엔피게임즈 이승재 대표

만약 외자 판호까지 풀린다는 가정하에 ‘과연 한국 게임이 중국 게임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는 “중국 게임의 수준이 많이 올라갔고, 따라서 객관적인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는 힘들지 않을까?”라는 의견에 모두가 동의했다.

위 교수는 “정부가 나서면 국가 차원의 무역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민간 차원이라면 오히려 이러한 문제를 수면위로 올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중국 시장의 유입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으로 국내 게임 생태계를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게임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